크롬캐스트3 사용법
구글 크롬 캐스트 3 연결방법 (사용방법)
구글 크롬캐스트3를 TV와 연결하고 유튜브나 넷플릭스 실행하는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연결이 필요한 것들을 준비해 두어야합니다. 우선 크롬캐스트를 준비하고 연결할 때에 필요한 스마트폰을 가까지 두어야하겠지요. 그런 후에 이들 기기와 연결할 모니터 혹은 TV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Wi-Fi 환경이 기본적으로 필요한 점을 아셔야합니다.
우선 알려 드리는 것은 구글 크롬 캐스트3 연결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실제 퀵 가이드에서 총 3단계로 압축 하여 설명을 하고 있으니깐요. 보기에는 많은 과정이 나타난다고 하지만 실제로 유저가 설정해야 하는것은 별로 없이 그저 '다음'만 눌러주면 되는것이니 초보자라
할지라도 겁먹지 마시고 잘 따라만 해주신다면 쉽게 연결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일단 패키지를 오픈해 줍니다. 연결이 필요한 케이블과 본체 그리고 어댑터를 꺼냅니다. 그런 후에 참고 할 것은 한 장으로 되어 있는 '퀵 가이드만 있으면 모든 준비가 마친것이지요.
먼저 크롬캐스트에 전원을 연결해주기 위해 케이블과 어댑터를 연결하여 콘센트에 연결한 뒤에는 하단의 마이크로 5핀 포트에 잘 꼽아 줍니다. 쉽지요?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면 우측면을 보세요. 이곳에 위치한 인디케이터에 반갑게 노란색 불이 점등될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전원과 연결된 본체를 들고 내가 연결하려고 하는 TV 혹은 모니터의 후면에 있는 HDMI단자(포트)에 연결해 주겠습니다. 그리고 이제 리모콘을 가지고 외부입력을 눌러서 해당하는 HDMI포트를 찾아 줍니다.
그리고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게되면 '앱 다운로드' 의 관련된 메시지가 화면에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우측 하단에는 제품번호가 나오시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기기가 있는 장소를 선택하는게 남았습니다. 이름을 지정해 주고 구성하기 위한 것이니 어느 곳을 선택하시던 연결에는 아무 상관이 없으니 원하시는 장소를 선택하면 됩니다.
이제 Wi-Fi 를 연결하라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올바르게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크롬 캐스트와 스마트폰이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 있어야만 합니다. 혹시 연결을 했지만 제대로 실행이 안될 때에는 거의 대부분의 이유가 네트워크가 동일 하지 않는 이유이기 때문에 바르게 되었는지 잘 살펴보시면 됩니다
이제 와이파이까지 연결이 되었다면 사용 환경을 맞춤설정하는일이 남았습니다. 이를 위해 구글 계정이 연결됩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이제는 거의 다 끝난것입니다. 마지막 단계에 왔으니 다음에 보이는 몇 가지 사항들에 대해서 '다음 다음'을 누르시면서 넘겨 주시면 됩니다.
이제 모든 설치 과정이 끝났습니다. 구글 크롬캐스트3 연결이 완료되었습니다.(축하드립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는지 TV 혹은 모니터의 화면에 컴퓨터의 배경화면이나 스크린 세이버와 같은 대기모드로 바뀔 것입니다. 우측 하단에 보시면 시간과 구글이라는 문구가 표시되게 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화면이 바뀌게 되며 앱을 실행시켜서 나만의 스타일에 맞도록 배경화면 설정을 하는것도 가능합니다.